물리적 접근 어려운 병원

장애인의 병의원 이용 경험담

김갑재 기자 | 기사입력 2023/05/19 [17:18]

물리적 접근 어려운 병원

장애인의 병의원 이용 경험담

김갑재 기자 | 입력 : 2023/05/19 [17:18]

20171230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5년이 지났다.

 

 

해당 법은 장애인이 최적의 건강관리와 보호를 받을 권리를 가짐과 장애를 이유로 건강관리 및 보건의료에 있어 차별대우를 받지 않아야 하며, 관련 서비스 접근에 비장애인과 동등한 접근성을 가질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주치의 시범사업과 건강검진기관의 운영, 그 밖의 관련 연구들의 진행그리고 지난해 1229일 장애인정책국 내 장애인건강과 신설까지. 과연 장애인들의 건강권은 잘 보장되고 있는 걸까?

 

 

이야기를 나눠 보니, 여전히 병원에서 물리적 접근성이 보장되고 있지 못했다.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서보민님은 대학병원이여도 장애특성에 대한 의료시설이 마련되지 않아 안과 검사 같은 경우에도 검사기기에 몸을 맞출 수가 없어서 못 받고 나온 적이 있다고 했다.

 

패널로 참여한 백연연님은 소아마비 등으로 거동이 불편한 경우 좁은 진료 침대에서 낙상 위험이 있을 수도 있고, 여성장애인은 특히 산부인과 검사 시 탈의실 및 검진의자에 올라가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하며 대다수의 병원이 물리적 접근성이 확보되어 있지 못한 현실을 꼬집었다.

 

 

또한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의료진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단 이야기가 강조되었다. 대부분의 병원은 장애인을 한 명의 환자로 바라보고 대하지 못했다. 장애인 환자가 오면 어찌할 바를 모른다는 표현이 나왔다.

 

 

언어장애를 동반하고 있는 김민교님은 동네 치과에서 급한 치과 진료를 받으러 갔는데 접수 받는 간호사가 언어장애로 의사소통이 어렵고 걷는 모습이 이상하여 앵벌이인줄 알고 진료 접수를 거부했다가 글로 써서 겨우 진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다고 했다.

 

 

사고로 하지를 절단하고 의족을 사용하고 있는 김관웅님은 진료 전 바퀴가 없는 의자로 바꾸어 달라고 요청하면 병원 측이 협조를 해 편하게 진료를 받기도 한다는 경험을 나누었다. 장애인건강을 위해 의료진의 작은 배려와 지원이 중요한 부분임에 참여한 패널 모두가 입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한 패널은 많은 장애인분들이 두려워하지 말고 어떤 병원이든 많이 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이번 아고라를 시작으로 장애당사자들의 병·의원이용 경험을 나눌 수 있는 자리가 많이 마련되길, 당사자들의 병의원 이용이 특별한 경험이 되지 않길 바란다.

 

 

장애인 아고라는 당사자의 경험을 통해 삶 중심의 사회, 정책을 풀어내고자 하고 있다. 장애당사자 4인의 우여곡절 병·의원 이용 경험담이 담긴 장애인 아고라는 유튜브 채널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을 통해 다시 보기가 가능하며, 복지TV 채널을 통해 5월 21() 오후 2시에 재방송으로 시청할 수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사랑의 후원금
사랑의 후원금 자세히 보기
사랑의 후원금 후원양식 다운로드
사랑의 후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