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 중 10년 전 명단에 없었던 신규 진입 기업은 16개로 26.2%로 나타났다.
지난10년간 세계2000대 기업 명단에 신규진입한 한국 기업의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美경제지 포브스 Forbes에서 발표하는 2024세계2000대 기업 명단을 분석한 결과,한국 기업은61개 등재되어 미국,중국,일본,인도,영국에 이어6위를 기록했다. 한국 기업61개 중10년전인 2014년 명단에는 없었던 신규진입 기업은16개였으며,비율로는26.2%였다. 전체2000대 기업 중에서는33.8%인 676개가 신규진입 기업이었으며, 기업 수 상위10개국 중에서는 중국 59.3%,인도 42.3%,미국 37.5%순으로 신규기업 진입률이 높았다. 반면 한국은 전체 평균보다 신규진입률이 낮았으며,순위로도10개국 중7위였다. 산업별로10년간 신규진입률을 보면IT소프트웨어가 61.6%로 가장 높았으며,이어 비즈니스 서비스53.9%, 금융투자45.3%, 헬스케어43.6%, 유통40%, 제약38.3% 등 주로 첨단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기업이 많이 등장했다. 반면 철강 소재 23.1% ,석유가스 17.7%, 통신12.5% 등에서는 신규 진입률이 낮았다. 해당 연구는 미국의 경제지Forbes에서 매년 발표하는 Global 2000’의 명단을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이며, 24년 자료는5월17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되어6월에 발표되었다. Global 2000명단은 기업의 매출,순이익,자산,시가총액을 종합해 선정,순위가 미겨지는데,이는 글로벌 시장 내 기업의 위치를 보여주는 종합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국가별 기업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한국 기업 대부분은2000대 기업 중 하위 순위에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기업 순위 분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기업61개중9개인14.7%만이 상위500등 안에 포함됐다.이는 중국,일본,미국 등 기업 등재 수가 많은 국가들 뿐 아니라,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 적은 독일 50개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반면1001~2000등에 들어간 기업의 비중은 우리나라가 60.7%로 주요국 중에 가장높았다. 상위500등 내에 있는 기업을 국가별로 보면,미국기업이 약1/3인176개로 가장많았고,뒤를 이어 중국,일본,영국,프랑스,캐나다,독일,인도,스위스 순이었다. 우리나라는9개로 주요10개국 중 가장 적었는데,이는 총 등재기업 수로는6위를 기록한 것에 비해 저조한 수치였다. 대한상의는 독일의 등재 기업 수는50개로 우리나라보다11개 적지만500등 이내 기업은18개로 우리나라보다 두배 많았으며,독일의 상위권 기업에는 세계적인 자동차 업체 외에도IT,기계,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기업이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다양한 분야에서 더 많은 글로벌 기업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순이익도 우리나라가 주요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등재 기업 수로는 한국이61개로6위 였으나,국가별 등재 기업의 순이익을 모두합한 전체 순이익 규모는 우리나라가649억달러로 전체12위로 떨어졌다.이는 미국 순이익1.8조달러,중국 6,021억달러,일본 2,790억달러뿐 아니라,우리보다 등재 기업 수가적은 캐나다1,104억달러, 독일 1,017억달러, 프랑스1,439억달러 보다도 낮은 수치였다. 또한 국가별 등재기업의 평균 순이익 국가별 순이익 합계÷기업 수을 계산해보면 우리나라는10.6억 달러로 주요10개국 중 가장 낮았으며,전체 평균인22.5억 달러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우리나라 등재기업61개 중 순이익10억 달러 미만인 기업은44개로72.1%였는데,이는2000대 기업 중 같은 순이익 구간에 있는 기업의 비중이52.6%인 것에 비해 높은 수치이며,미국48.5%,중국60.4%등과 비교해도 높았다. 반대로 순이익20억달러 이상 구간의 한국 기업 비중은11.5%에 불과했는데,이 또한 전체의26.1%,미국의30.4%,중국의19.3%에 비해 낮아 주요국에 비해 우리나라에 수익성이 높은 글로벌 기업의 수가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대한상공회의소 김현수 경제정책팀장은 첨단 산업 경쟁이 치열한 지금,한 국가가 보유한 세계적 기업의 수는 곧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며 우리경제의 역동성을 높이고,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더 많은 글로벌 스타 기업이 등장하기 위해선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경제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