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용흐름의 3가지 특징은 여성취업자의 증가, 단시간 근로자 증가, 청년고용의 부진이다.
여성 취업자 증가 작년2023년 늘어난 취업자 32만7천명 중 여성이 30만 3천명으로 92.7%를 차지했다. 더욱이 최근 3년간 늘어난 취업자의 성별 비중도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남성을 압도하고 있다. 부문별로는 30대 여성, 고학력 여성, 기혼 여성이 취업자 증가를 주도했다.
한편,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가 확대되면서 가정에서 육아나 가사에 전념하는 소위 ’남성 전업주부‘가 증가해, 지난해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단시간 근로자 증가 주52시간제 시행, 근로형태 다양화, 맞벌이 여성 증가 등으로 임금근로자 중 근로시간이 주36시간 미만인 단시간 근로자가 크게 늘고 있다. 특히 근로시간이 주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근로자는 지난해 126만3천명으로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여성, 고령자와 청년, 10인 미만 사업장이 단시간 근로자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자발적으로 단시간 근로를 선택하는 임금근로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단시간 근로의 선택 동기도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청년고용 부진청년 취업자는 2022년 11월부터 2024년 3월까지 17개월 연속 감소하며 최근 10년간 최장기간 감소를 기록했다. 작년 청년 취업자 감소-9.8만명의 주된 원인은 청년 인구감소17.7만명로, 취업자 감소분 중 인구효과가 대부분8.3만명, 84.8%을 차지했다. ‘14년 이후 청년 취업자가 12개월 이상 감소한 시기는 코로나19 기간인 ‘20년 2월부터 ‘21년 2월13개월 00년 이후로도 청년 취업자가 12개월 이상 감소한 시기는 총 6회 ‘02.6~‘04.423개월 ‘04.11~‘09.1262개월 ‘10.2~‘11.718개월 ‘12.5~‘13.1018개월 ‘20.2~‘21.213개월 ‘22.11~‘24.317개월
다만, 경총은 청년 인구감소에도 불구하고 청년 취업자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비경제활동인구로 편입돼 ’숨어 있는 실업자‘로 살아가는 청년들을 노동시장으로 유인하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감소세를 보였던 청년 ’쉬었음‘ 인구가 지난해 1만1천명 증가로 전환되면서 노동력 유휴화 현상의 심화가 우려됐다. 청년 ’쉬었음‘의 주된 사유로 ’원하는 일자리 찾기 어려움‘이 가장 크게 나타나, 노동시장 미스매치가 존재함을 시사했다.
한편,경총은코로나19이후고용흐름20년2월~‘24년2월의주요특징을분석한자료를첨부하여, “코로나19이후고용시장은여성취업자증가세가강했고60세이상고령층이고용회복을주도했으며,업종별로는보건복지업과운수창고업의회복세가두드러진반면,도소매업·숙박음식업,제조업은아직도고용부진이이어지고있다”고밝혔다. 경총김선애고용정책팀장은“최근우리고용흐름의주된특징은여성취업자의약진,청년고용의부진,그리고단시간근로자비중확대로요약된다”며,“코로나19이후인구·산업구조전환이빨라지면서고용시장도빠르게변화하고있다 모든연령·계층의고용안정과더많은양질의일자리창출을위해서는중단없는노동개혁추진이무엇보다중요하며,기업하기좋은환경을만들기위한규제혁신도시급하다”고지적했다.
<저작권자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경제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