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집권 이후 물류공급망의 탈중국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미국의 남동부 지역이 새로운 문류거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2기 집권 이후 미국 전체 항만을 대상으로 한 친환경 물류인프라 사업은 철회될 가능성이 높다 항만이 4 5개 밖에 없는 서부보다 세금이 낮고 물류인력이 집중되어 있는 동남부와 USMCA 미국 멕시코 캐나다 무역협정로 묶여있는 캐나다 멕시코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11일 발간한 ‘트럼프 집권 2기 물류공급망 변화와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집권 2기 이후 물류공급망의 탈중국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거점으로 떠오르는 미국 동남부지역, 캐나다 멕시코 국경지역 등을 중심으로 항만 터미널 등 물류인프라를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미국의 對中 무역액이 2021년 6.6천억달러에서 2023년 5.8천억달러로 큰 폭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3년 간 미국의 수입액 연평균증가율은 멕시코 7.5%, 중국 –5.4%로 미국 최대수입국이 중국2023년 수입액 4.3천억달러에서 멕시코 2023년 수입액 4.8천억달러로 전환되었다. 대한상의는 트럼프가 중국의 미국 관세 회피를 목적으로 한 멕시코 우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해 멕시코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를 공약한 바 있지만 큰 기조는 탈중국인 만큼 USMCA 미국 멕시코 캐나다 무역협정로 묶여있는 멕시코·캐나다, 한국 대만 등 기존 경제동맹국 중심으로 물류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트럼프 집권 2기 이후 미국 물류공급망 재편에 따른 물류기업의 전략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기업들의 물류거점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과제로 ‘물류정책 통합거버넌스 구축’, ‘화주·물류 상생기반 마련’, ‘물류공급망 인프라 지원’ 등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제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반도체 2차전지 등 핵심산업의 자국 내 산업화 공장기지화가 진행되어 글로벌 수출입 물류공급망 패턴이 변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 한국의 소부장 소재 부품 장비 및 중간재가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이동했던 것에서 앞으로 한국 중간재가 곧바로 북미로 건너가 역내에서 가공 조립을 거쳐 최종재가 되고, 미국 내에서 소비되거나 일부는 해외로 수출되는 물류흐름으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성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미물류공급망센터 뉴저지 소재 센터장은 “미국은 반도체, 2차전지, 전기자동차, AI, 양자 컴퓨팅 등 주요 핵심 기술제품에 대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는데, 향후 5년 내 생산시설이 완비되면 미국 내수 시장에서 소비되고 나아가 해외, 특히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하는 흐름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대한민국은 반도체 2차전지 등 미국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핵심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고 해운, 항공 등 물류 분야에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공급망 변화 선상에서 3PL 풀필먼트 서비스, 터미널 인프라 운영 등의 물류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관련기사목록
|
경제 많이 본 기사
|